버전이라는건 왜 필요할까?
버전은 쉽게 생각해서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로그램 소스를 여러 사람이 작업하고 언제 올렸는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소스가 업데이트 될때마다 번호표를 붙여주면 된다.
버전을 만들기 위해선 commi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commit을 하기전에 이 버전을 누가 만들었는지 관리하기 위해 user.name과 user.email을 부여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한번만 부여하면 된다.
그런 다음 git commit 을 하게 되면 버전 log를 만들기 위한 vim이 실행되고
vim 이 실행되면 log를 적절히 적어주면 된다.
git log 명령어를 실행하면 누가 언제 버전을 만들었는지 나오게 된다.
이번엔 f1.txt 파일을 수정한뒤 commit 해보자
vim f1.txt 입력한뒤 f1.txt 를 수정하고
git commit을 하게 되면 버전이 올라갈것 같지만 안타깝게도 할수없다.
수정된 파일은 다시 add를 통해 git이 관리할수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Git > 지옥에서 온 Git ( 생활코딩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Git] gistory 설치 (0) | 2019.08.31 |
---|---|
[생활코딩 Git] Git 변경사항 확인하기! (0) | 2019.08.27 |
[생활코딩 Git] add 명령어는 왜 ? Stage area 란? (0) | 2019.08.27 |
[생활코딩 Git] Git이 관리할 대상으로 파일 등록하기 (0) | 2019.08.12 |
[생활코딩 Git] 저장소 만들기 (0) | 201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