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을 설명하기 앞서
화폐는
화폐를 쓰고자 하는 사람들 + 거래를 기록할수있는(신뢰할수있는) 장부(기관)가 필요합니다.
화폐는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해왔고
컴퓨터 technology도 많은 발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화폐가 나오는데 오래걸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1.정보의 복제 가능성
인터넷의 정보(디지털정보)를 복사하거나 불법적으로 사용될가능성이 높습니다.
2.모든 사람들이 쉽게 읽고 쓸수있으면서 위조가 되지 않는 장부가 필요하다.
또한 화폐라는 것은 신뢰성을 높이려면 폐쇄성이 강해야하고
폐쇄성이 약하면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비트코인은 이런것을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나왔다.
*그럼 우리가 흔히 말하는 1비트코인을 가지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비트코인은 거래의 체인이다 따라서 비트코인은 동전처럼 가지고 있는게 아니다.
비트코인의 생성(채굴자 A)
a->b 1비트코인 전송(블럭체인에 기록)
b->c 1비트코인 전송(블럭체인에 기록)
.
.
.
z->홍길동, 1비트코인 전송(블럭체인에 기록)
홍길동이란 사람이 1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비트코인의 생성시점부터 모든 기록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있고
따라가다 보면 홍길동에게 도착해있다라는것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거래는 무엇인가?
a->b 1비트코인전송(블럭체인에 기록)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시스템,중앙통제기관이 없다.
->이중지불(double-spend)의 문제발생할수 있다.
예)
1.A는 B에게 보드카를 팔고 3비트코인을 받았다.
2.이와 동시에 B은 C에게 와인을 사고 A에게 지불한 3비트 코인을 C에게보낸다.
3.A과 C는 둘다 3비트코인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4.기존 화폐 시스템에서는 중앙 통제기관인 은행에 가서 따지면 되지만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따질곳이 없다.
비트코인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암호학+경제학적 유인!!
비트코인은 만든 사토시는
거래들의 시간 순서를 전산적으로 입증하게 만들도록 하는
p2p 분산 네트워크 기반 타임스탬프 서버를 이용하여 이중지불 문제를
방지하는 해법을 제안하고자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악의적으로 협력하는 노드 그룹보다
정직한 노드들이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한 안전하다고 합니다.
'가상화폐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의 세그윗! 세그윗은 뭘까? CH2 !! (0) | 2017.08.02 |
---|---|
비트코인 세그윗! 세그윗은 뭘까? ch1 (0) | 2017.08.02 |
빗썸!서버 점검하네요. (0) | 2017.07.15 |
비트코인의 개념!! (1) | 2017.07.14 |
이더리움 클래식의 미친 폭등!!과연 언제까지 오를까!! (0) | 2017.07.12 |